UTOPIA
This project presents a dystopian reflection on the elements necessary to create a happy society. After the Korean War, South Korea underwent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leading to significant economic growth but also fostering a society characterized by excessive competition and individualism, often termed as modern nihilism. Issues such as problems in education and entrance exams, rising youth suicide rates, and intense competition have been prominently highlighte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operation,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to reduce burdens and foster creativity, and promoting social equality and diversity. Through such changes, Korean society can pursue happiness and utopia. The video referred to as utopia presents a positive space outside the house, representing the symbol of South Korean society. This space is free and represents a place of hope, where wishes written on paper and sincerely desired are visually represented through wish lists and wish stones. The clock with the infinite flow of time symbolizes a space without pressure, a peaceful and relaxed period. The rabbit existing therein symbolizes the hurried, stressful reality of South Korean society, where everything must be done quickly. Additionally, I wanted to emphasize a lively and fantastical space with various striking colors.
이 작업은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한 고찰을 디스토피아적으로 제시 합니다. 한국은 남북전쟁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쳐 경제적으로 큰 성장을 이루 었지만, 이로 인해 경쟁과 개인주의가 지나치게 강조되는 현대 허무주의 사회로 발전했습 니다. 특히 교육과 입시 문제, 청소년 자살률 상승, 과도한 경쟁 등이 대표적인 문제로 지 적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의식과 협력 강화, 교육 시스템 개선을 통한 부 담 경감과 창의성 증진, 사회적 평등과 다양성 존중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한 국 사회가 행복과 이상향을 추구할수 있을 것입니다. 유토피아라고 칭한 이 비디오는 한국 사회를 상징하는 집을 기준으로 그 밖에 존재하는 자유롭고 원하는 소망의 긍정적인 공간 이며, 이 공간에는 한국에서 자주 보이는 무언가를 바랄때 종이에 적고 간절히 원하면 이 뤄진다는 염원이 담긴 줄에 단 소원종이들, 돌을 쌓으며 염원을 하면 이뤄진다는 돌탑을 통해 소망의 공간이라는 것을 보여주며, 멈추지 않고 계속 흐르는 무한의 시간을 가진 시 계를 통해 시간에 관한 압박없이 평화로운 여유로운 공간을 보여줍니다. 이 공간 속 존재 하는 토끼는 무엇이든 빨리해야하고 여유없는 한국인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여러 눈에 띄 는 색들로 밝고 환상적인 공간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EARLESS RABBIT
As part of the Utopia series, this artwork encapsulates the process of bringing something that existed only in the virtual world into the realm of reality.‘The Earless Rabbit’ symbolizes individuals in contemporary society who have lost something significant and are oppressed, eliciting empathy from all of us. Created using 3D software and printed with a 3D printer, this piece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Through it, we can provoke deep reflection on the losses and oppressions experienced by modern individuals.
유토피아 시리즈의 한 부분으로, 이 작품은 가상 세계에서만 존재하던 무언가를 현실 세계 로 가져오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귀 없는 토끼’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것을 잃고 억 압당한 인간들을 상징하며, 우리 모두에게 공감을 일으킵니다. 이 작품은 3D 프로그램을 통 해 만들어졌고 3D 프린터로 인쇄되어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넓혔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대인의 상실과 억압에 대한 깊은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DYSTOPIA
This piece is a derivative artwork from the Utopia series, showcasing a dystopian, negative space in contrast to utopia. The video metaphorically portrays South Korean society as a house and delves into its interior space. Inside the house, we encounter numerous individuals with identical colors and forms, representing the standardized nature of South Korean society. While these individuals possess unique personalities, they are trapped within society, losing their individuality and succumbing to homogenization. However, the video also presents a glimmer of hope by depicting a faint line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breaking free with a little determination, conveying a message of hope. Through this, the artwork critiques the homogeniz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lethargy of individuals unable to resist it, while also expressing a longing for change and freedom.
이 작업은 유토피아 시리즈에서 파생된 작업으로써, 그와 정반대로 디스토피아적인 부정적 공간을 보여줍니다. 이 비디오에서 한국 사회를 하나의 집으로 비유하고, 그 안의 공간을 탐 구합니다. 집 안에는 동일한 색상과 형태를 가진 여러 사람들이 등장하여, 한국 사회에서의 획일화된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사실상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 사회 속에 서 갇혀 개성을 잃고 획일화된 상태에 빠진 현대인들을 상징합니다. 그러나 조금만 마음을 먹는다면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둥근 선을 함께 보여주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 달합니다. 이를 통해 작품은 한국 사회의 획일화와 그에 대항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현대인 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면서도, 변화와 자유로움을 향한 열망을 담아냅니다.
BIRTH
“Birth” is a video artwork that delves into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conscious and dreams. Created using 3D software, it visually portrays the concept of virtual entities emerging from the depths of the unconscious, growing through our hidden emotions and aspirations.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dreams, it stimulates the desire to explore and understand our inner world. These virtual beings born within dreams reflect our unconsc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revealing what we may try to conceal. “Birth” offers profound reflections on our inner world, prompting viewers to contemplate their own dreams and subconscious. Depicting fantastical creatures seemingly emerging directly from the depths of the subconscious, the artwork symbolizes deeply rooted emotions and hidden desires that play roles in our dreams.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it shows how these beings thrive and evolve within our dreams, nourished by our hidden emotions and desires. It highlights how the subconscious serves as an endless source of creativity and inspiration in our dreams. “Birth” invites viewers to reflect on the deeper meanings of their dream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 thought and the subconscious. It powerfully demonstrates how dreams can provide insights into our hidden desires and fears, aiding in better self-understanding.
“탄생”은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비디오작업으로, 잠재의식과 꿈 사이의 관계를 다룹니다. 이 작품은 우리의 내면 세계를 시각적으로 탐구하고 이해하도록 돕는데, 꿈 속에서 나타나는 가상의 존재들을 통해 우리의 숨겨진 감정과 욕망을 드러냅니다. 이 가 상의 존재들은 우리의 무의식적인 심리적, 감정적 상태를 반영하여 우리가 숨기려고 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작품은 또한 꿈 속에서 이러한 존재들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우리의 숨겨진 감정과 욕망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무의식이 우리의 꿈 속에서 창의성과 영감의 원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관객 들로 하여금 자신의 꿈에 대한 깊은 의미를 고민하고 의식적 사고와 무의식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도록 초대합니다. 이 작품은 꿈을 통해 우리의 숨겨진 욕망과 두려움을 탐구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UNWAVERING CANDLELELIGHT
The“Unwavering Candlelight,” created through a 3D program, embodies the notion of never extinguishing, unlike conventional candles. This piece initially stemmed from commemorating the tragic incident of the Itaewon Apsa Accident in Korea. The candle symbolizes perpetual remembrance and tribute to those who have passed away. Moreover, it encapsulates various meanings beyond mere sorrow, encompassing themes of light and hope, prayer and celebration, peace and sacrifice. The candle represents not only remembering and honoring loved ones but also symbolizes hope and peace. Through 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is multifaceted symbol of the candle can now be experienced in the real world, transcending its previous existence confined to monitors, to communicate with us, offer solace, and reinforce the significance of remembrance and commemoration. This candle serves as a reminder of eternal hope and peace, prompting us to never forget what truly matters.
3D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이“꺼지지 않는 촛불”은 일반적인 촛불과는 달리 영원히 꺼지 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처음에는 한국의 비극적인 사건인 이태 원 압사 사고의 추모를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이때의 촛불은 죽은 이들을 영원히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촛불은 또한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슬픔의 의미뿐만 아니라 빛과 소망, 기도와 축제, 평화와 희생 등의 다양한 촛불의 상 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촛불은 사랑하는 이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뿐만 아니라 희망과 평화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 촛불은 AR(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현실 세계에서도 경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모니터 속에서만 존재하던 작품이 현실 세계에서도 빛을 발하며 우리와 소통하고 위로를 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R 기술을 통해 작품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 가능하며, 추모와 기억의 의미를 더욱 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촛불은 우리에게 영원한 희망과 평화를 상기시키며, 우리가 결 코 잊지 말아야 할 것들을 상기시킵니다.
LEAVE A MARK
The artwork is expressed through the traces left by multiple ‘selves’ powered by batteries. They move across the sand, each leaving its own mark. However, their movements are unpredictable and continuously change shape and symbols. This piece metaphorically depicts the process of individuals discovering their identity and adapting to society in the modern world. The ‘self’ experiences uncertainty as it navigates through exploring its role and existence without setting a precise goal. Nonetheless, it gradually leaves its mark, hoping that it will be remembered by someone, thus growing in the process. Ultimately, it encapsulates the essence of human nature as we seek to find ourselves and evolve within society.
이 작업은 건전지로 인해 작동되는 여러 개의‘나’의 흔적으로부터 표현됩니다. 이들은 모 래 위를 움직이며 각자의 흔적을 남깁니다. 그러나 이들의 움직임은 예측할 수 없으며, 지속 적으로 모양과 표식을 바꿉니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 고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보여줍니다. ‘나’는 아직 목표를 정확히 설정하지 못하고, 자신의 역할과 존재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불안함을 느낍니다. 그러나 조금씩이나마 자신의 흔적을 남기며, 이를 통해 누군가에게 기억될 수 있기를 바라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는 우리가 사회 속에서 자아를 찾고 성장해 나가는 인간의 본성을 담은 작품 입니다.
EXISTS AND DOES NOT EXIST
This Installation combines a video artwork created using a 3D program with ceramic objects, showcasing that the 3D work doesn’t just exist within the confines of a screen, but also manifests as tangible objects in the real world. Through this installation, the intention is to challenge our perceptions and offer a fresh perspective on how art can interact with our lived experiences. The geometric objects featured in both the video and the physical installation are crafted with a variety of colors and forms, inviting viewers to visually explore our inner worlds. These abstract shapes represent aspects of our emotions, thoughts, and inner landscapes that often elude conscious recognition. By showcasing these elements, the artwork encourages us to recognize and delve into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our subconscious minds. In a world where individuals possess unique appearances, personalities, and inner worlds, the absence of identical entitie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in shaping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Continuously exploring this diversity within our inner selves, each object symbolizes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existence. Ultimately, this artwork serves as a reminder to acknowledge and respect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within ourselves and others, delivering a message of acceptance and appreciation for our multifaceted identities.
이 설치작업은 3D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비디오 작품과 세라믹 오브제를 함께 설치하여, 3D 로 만들어진 작업이 단순히 스크린 안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도 오브제 로서 존재함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러한 설치 작업은 우리의 인식을 뒤집고, 예술 작품이 어떻게 우리의 현실적인 경험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이 비디오와 실제로 같이 설치되어 있는 기하학적인 오브제들은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는 우리의 내면 세계를 시각적으로 탐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추상적인 형상들은 우리가 평소에는 인지하기 어려운 우리 자신의 감정, 생각, 그리고 내면 세계를 보여줍니다. 이 작업은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다루는 개인적인 내면의 복잡성과 다양 성을 인식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데, 각자가 고유한 외모, 성격, 내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완전히 동일한 사람은 없으며, 각자가 고유한 색과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개인적인 경험과 관점을 통해 세 상을 인식하고 이해한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나는 계속해서 이러한 내면의 다양성을 탐 색하고 있으며, 각각의 오브제는 개별적이고 독특한 존재로서의 개인성을 상징합니다. 이 작 품은 궁극적으로 우리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COMMUNICATION
This project was conceived for an outdoor exhibition at the “Container Festival.” The festival serves as a space for people to come together and enjoy various forms of art. I have produced videos featuring 3D artworks that transform in diverse ways through the mouth, ears, and body, with diversity as the central theme. We all possess different appearances and experiences, but we aim to convey a message of respect and harmony, celebrating our differences and coming together in unity. Through this artwork, we celebrate and embrace diversit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spect and understanding. We convey a message of coming together to enjoy and acknowledge each other, fostering an atmosphere of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이 작업은“Container Festival”에서 개최되는 야외 전시를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이 축제 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즐기기 위한 장소로, 저는 다양성을 주제로 하여 입과 귀, 그 리고 신체를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된 3D 작품을 통해 비디오를 제작했습니다. 우리 모 두는 서로 다른 모습과 경험을 갖고 있지만, 그것을 존중하고 함께 어우러지는 메시지를 전 달하고자 합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서로 다름을 즐기고 받아들이며, 다양성을 향한 존 중과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함께 모여 즐기며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분 위기를 보여주는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MY EVERYTHING
This project began with the thought, “I wish the things I cherish could stay with me for a lifetime.” To symbolize an eternal connection with my loved ones, I encased symbolic items in gelatin. These items included photographs, letters, watches, rings, pills, cat feathers, parrot feathers, and more. Initially, the gelatin appeared perfectly preserved, giving the impression of everlasting stability. However, over time, the gelatin began to deteriorate and decay. Yet, the essence lies in the fact that the moments captured in the photographs remain eternal and immutable. This realization prompted the decision to finalize this project with photographic works. Regardless of the passage of time, photographs remain eternally present with us, breathing life into our memories. This artwork serves as a poignant reminder that love and cherished moments persist alongside us, underscoring their timeless value that withstands the trials of time.
이 작업은“내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이 평생 나와 함께 있기를 바란다”는 생각으로 시작되 었습니다.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하기 위해 상징적인 물건들을 젤라 틴에 굳혀 보았습니다. 이러한 물건들에는 사진, 편지, 시계, 반지, 알약, 고양이털, 앵무새 깃털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젤라틴이 완벽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영원히 보존될 것 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젤라틴은 점차 무너지고 썩어갔습니다. 그러나 중요 한 것은 사진 속의 그 순간은 영원히 남아있으며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진으 로 이 작품을 완성하기로 결정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시간이 흘러가더라도, 사진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남아있고 우리의 기억 속에 살아 숨 쉽니다. 이 작업은 사랑과 소중한 순간들이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음을 상기시키고,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그 가치를 강조합니다.